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수다/건강한 물 이야기

물 관련 세계적 신화12탄_거슨새미와 노단새미

 

물 관련 세계적 신화12탄_거슨새미와 노단새미

거슨새미와 노단새미에 대해 아시나요? 거슨새미는 제주도에 위치한 유명한 용천수를 가리키며, 노단새미는 그 옆에 흘러내리는 샘물을 가리킵니다. 이 거슨새미와 노단새미에 얽힌 재미있는 옛이야기가 있어 여러분께 소개해드리려 하는데요. 자, 그럼 함께 들어볼까요?

 

 

제주도, 제주도 오름, 제주도 산

 

 

옛날 제주도에 날개 돋은 장수가 태어났습니다. 그 소식은 점점 퍼지기 시작하여 중국 황실에까지 전달되었는데요. 제주도에서 심상치 않은 장수가 태어났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자, 두려운 마음에 중국 왕은 호종단이라는 자를 불러 제주도에 보내어 산혈(山穴)과 물혈(水穴) 등 명혈을 모두 끊고 오도록 지시하기에 이르렀어요.

 

* 명혈 명당이 되는 자리의 혈

 

제주의 구좌읍 종달리 포구에 들어 온 호종단은 차츰차츰 명혈을 끊기 시작했습니다. 거의 토산리에 이를 무렵 '너븐밧(廣田)'에서 한 농부가 밭을 갈고 있었는데, 어떤 고운 처녀가 허겁지겁 밭가는 농부에게로 달려오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처녀는 매우 급하고 딱한 표정으로 하소연했지요. "저기 물을 요 놋그릇(행기)에 떠다가 저 길마 밑에 잠시만 숨겨 주십시오.“

 

농부는 처녀의 말대로 거슨새미와 노단새미로 달려가서 놋그릇에 물을 떠다가 길마 밑에 놓아주었습니다.

처녀는 그 물속으로 뛰어 들더니, 곧 사라져 버리고 말았어요! 바로 그 처녀는 거슨새미와 노단새미의 수신(水神)이었죠.

 

농부는 심상치 않은 일이라고만 생각하며 밭갈이를 계속하고 있었는데, 그때 멀리서 농부를 발견한 호종단이

왼손에 책 한권을 들고 다가왔습니다. 그 책은 중국황실에서 작성해준 제주도의 명혈(名穴)을 그린 산록(山錄)이어요.

 

"여보, 말좀 물읍시다." "그러시오."
"여기 '고부랑낭(고부라진 나무) 아래 행기물(놋그릇물)'이 어데에 있소?“ "그런 물은 없는데요."
"아, 들은 바도 없단 말이오?" "그렇소."

 

'고부랑낭(고부라진 나무)아래 행기물'이란 '길마 밑에 있는 놋그릇물'이란 말로, 그 책에는 수신이 이미 거기에 와서 숨을 것까지 알고 적어 놓은 것이었어요. 호종단은 그것도 모르고 다시 한번 더 갖고 온 산록을 살펴보더니, '여기가 틀림없는데, 여기가 틀림없는데...' 투덜대며 주위를 계속 샅샅이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찾다가 지친 그는 '쓸데없는 문서로고!'하며 산록을 태워버린 후, 서쪽으로 떠나 버렸죠.

 

그래서 종달리에서부터 토산리까지는 호종단이 물혈을 모두 떠버렸기 때문에 생수가 솟는 곳이 없지만, '거슨새미'와 '노단새미'만은 다행히 유지되어 지금도 샘물이 솟고 있다고 하죠! 제주시민에게는 유일하게 흐르는 샘물이자, 한줄기 희망이 되어준 셈입니다.

 

 

거슨새미, 노단새미

▲ 거슨새미, ⓒ '디지털서귀포문화대전'

 

 

여기까지! 제주도의 소중한 샘물, 거슨새미와 노슨새미에 대한 이야기 들어보았습니다.
물에 얽힌 각국의 신화를 배워보는 ‘물 관련 세계적 신화’ 시리즈!
다음 시간에는 금암동 애기바위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 가져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