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수다/건강한 물 이야기

산업과 생태의 메카 시화호, 한국판 머틀비치가 되다

 

 

산업과 생태의 메카 시화호, 한국판 머틀비치가 되다

 

머틀비치에 대해 아시나요?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오어리카운티에 있는 도시인데요. 다양한 형태의 50여개 골프장과 놀이공원, 각종 레저 시설, 콘도미니엄이 군락을 이룬 곳으로 세계적인 가족 휴양지입니다. 그랜드스트랜드라고도 불려요. 북쪽 리틀리버에서 남쪽 조지타운에 이르기까지 대서양과 접해있는 86km의 해안을 따라 놀이공원, 골프장, 워터풀장, 동물원, 보트장, 박물관, 호텔 등이 들어선 해변도라고 볼 수 있죠. 아주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대중 코스에서부터 매우 고급스런 코스까지 구비되어 있답니다. 한 해 방문객이 1,500만 명 정도라고 하니 그 위상에 대해 가히 짐작이 가네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머틀비치]

 

 

시화호, 한국의 머틀비치로 키워나갈 예정

 

시화호 인근 지역 또한 한국의 머틀비치로 키워나갈 예정인데요. 시화호는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화성군 서신면, 옹진군 대부면, 안산시 신길동 등 3개 군, 1개시에 걸쳐있습니다. 또한 서울 서남쪽 약 35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화지구는 인천-안산-아산항을 연결하는 서해안 공업 벨트를 형성합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내 부적격 공장 이전과 신규 공장 공급 적지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구요.

 

시화호 인근에는 대규모 멀티테크노벨리와 스포츠 레저 단지, 친환경 해상공원, 31만 4천 평의 인공 갈대습지공원,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소와 조력문화관 및 전망대까지 준비되어 있는데요. 역시 수도권의 새로운 첨단 공업 생산과 여가 활동의 새로운 메카로 떠오를 수밖에 없겠죠?

 

 

시화호, 송산그린시티, 수변도시

 

 

안산시, 시화호와 함께 생겨난 녹색 첨단 산업도시

 

갯벌을 매립한 땅에 들어선 반월공단은 안산에 공해 도시란 오명을 심어주었고, 국내에서 가장 긴 시화방조제가 완공된 뒤 시화호는 수질 오염으로 몸살을 앓아 왔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현재의 안산 시내 공기는 깨끗합니다. 반월공단과는 산으로 막혀있는 데다 시에서 최근 오염 물질 배출 규제를 강화했기 때문이에요.

 

갇혔던 시화호도 1997년부터 주기적으로 갑문을 열어 바닷물이 들락거리면서 수질이 많이 좋아져 갯벌 생물과 철새, 야생 동물의 생태계 보고로 변모하고 있는데요. 안산시는 사실 호주의 캔버라를 모델 삼아 자족형 도시로 설계된 국내 최초의 계획 도시입니다. 1976년 시흥군의 수암면과 군자면, 화성군의 반월면 일대가 반월 신공업 도시로 조성되면서 오늘의 안산이 형성됐지요. 그 전까지는 바다를 낀 반농반어 지대로, 드문드문 마을이 흩어져 있었을 뿐이었어요.

 

안산은 예로부터 큰 산이나 큰 강, 큰 절이 없는 대신 큰 인물이 많이 난 곳입니다. 조선 초기 세조 때의 학자 겸 예술가 강희맹, 강희안 형제를 비롯해 영·정조 시대 책이 1만 권 이상 있는 집이 전국에 다섯이었는데, 그 중 두 집이 안산에 있었다고 합니다. 화가 단원 김홍도 또한 안산 출신이며, 일제 시대 여성 농촌계몽운동가 최용신이 활동한 곳으로 심훈의 소설 <상록수>에 나오는 청석골도 지금의 안산시 샘골이에요.

 

시화방조제 완공으로 유명하던 사리포구는 없어졌습니다. 지금 어촌 풍경이 남아 있는 곳은 방조제 끝 대부도의 선감, 탄도, 불도 등 먼 바다에 면한 쪽뿐입니다. 대신 시화멀티테크노벨리, 대규모 스포츠 레저관광단지가 들어서게 되어 안산시는 과거의 영화를 현대적 설계로 탈바꿈시킨 첨단 녹색 도시로 새롭게 태어날 것입니다.

 

 

티라이트공원, 시화호

 

 

화호는 더 이상 오염된 호수, 죽음의 호수가 아니죠. 지금의 시화호는 생산과 휴식, 자연 체험 학습과 문화 공간으로 시민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희귀 조류가 서식함은 물론 우럭, 새우, 꽃게, 조개 등 각종 어패류가 서식하는 깨끗하고 아름다운 호수로 탈바꿈하였습니다. 이렇게 시화호의 수질이 개선되기까지는 하수처리장 증설, 임시차집수로,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 각종 NGO 단체들의 활동, K-water의 수질개선 대책안 등의 노력이 있기에 가능했던 것 아닐까요?

 

 

* 자료 출처: K-water 아름다운 우리호수